본문 바로가기

기술트렌드6

아직도 Java 8? 개발자라면 웃픈 업그레이드 현실 Java 개발자라면 “아직도 Java 8을 쓰고 있다”는 말에 고개를 끄덕이거나, 웃음을 터뜨려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2014년에 출시된 Java 8은 람다 표현식, 스트림 API 등으로 혁신을 이끌었지만, 어느덧 10년이 지나고도 많은 기업에서 여전히 현역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최근 몇 년 사이 Java 버전 업그레이드는 단순한 기술적 주제를 넘어,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회자되는 대표적인 ‘밈(Meme)’이 되었습니다.왜 Java 버전 업그레이드는 이렇게 힘들까?Java 8에서 최신 버전으로의 전환이 쉽지 않은 데에는 기술적, 조직적 이유가 모두 존재합니다.레거시 코드: 운영된 지 오래된 시스템일수록 의존성과 복잡도가 높아, 업그레이드 시 문제가 발생할 확률도 커집니다. “우리 시스템은 .. 2025. 5. 12.
개발자와 AI의 협업 시대, 새로운 역할 정리 소프트웨어 개발은 지난 10여 년간 클라우드, DevOps, 컨테이너, CI/CD 등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빠르게 진화해왔습니다. 그리고 지금, 새로운 패러다임의 중심에는 생성형 AI(Generative AI)와 AI 에이전트가 있습니다. 이 기술들은 단순한 자동화 수준을 넘어, 개발자의 일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15년차 개발자의 관점에서 생성형 AI와 AI 에이전트가 실제로 개발 현장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지를 정리해봅니다.1. 생성형 AI의 등장과 실무 적용대표적인 생성형 AI 도구인 ChatGPT, GitHub Copilot, Amazon CodeWhisperer는 이미 코드 작성 방식을 완전히 바꾸고 있습니다. 이전까지는 개발자가 함수나 클래스의.. 2025. 5. 10.
취약점 식별부터 심각도 평가까지: CVE와 CVSS 사이버 보안의 핵심은 위협을 얼마나 빨리 식별하고,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응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CVE와 CVSS입니다. 이 두 체계는 각각 취약점을 "식별"하고 "평가"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서로 긴밀하게 연동되어 보안 담당자들이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글에서는 CVE와 CVSS의 개념, 구성 방식, 상호 관계, 실제 적용 사례, 그리고 CVSS의 한계와 그 보완 전략까지 폭넓게 살펴보겠습니다.CVE – 보안 취약점의 고유 번호CVE(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는 MITRE 기관에서 관리하는 취약점 식별 체계입니다. 전 세계에서 공개되는 모든 주요 사이버 보안 취약점에는 고유한 CVE ID가 부여되며.. 2025. 4. 16.
딥러닝부터 GPT까지, 개발자가 알아야 할 AI 기술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며, 개발자들은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필수적인 지식과 기술을 익혀야 합니다. 딥러닝과 GPT 같은 최첨단 기술은 현대 개발자가 반드시 이해하고 활용해야 할 핵심 요소입니다. 본 글에서는 딥러닝과 GPT를 중심으로 개발자가 알아야 할 주요 AI 기술과 이를 실무에 적용하는 방법을 심층적으로 다룹니다.딥러닝: AI의 기본 구조를 이해하라딥러닝은 AI의 핵심 기술로, 인간의 뇌 신경망을 모방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딥러닝은 컴퓨터가 데이터로부터 스스로 학습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도구입니다.딥러닝이 개발자에게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째, 데이터 처리 능력입니다. 오늘.. 2025. 4. 12.
CVE-2025-30065 취약점 점검 및 조치 방안 최근 Apache Parquet Java 라이브러리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취약점은 데이터 직렬화 및 역직렬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공격자가 조작된 데이터를 통해 원격 코드 실행(Remote Code Execution, RCE)을 수행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CVE-2025-30065 취약점의 세부 내용과 점검 및 조치 방안을 소개합니다.CVE-2025-30065 취약점 개요Apache Parquet는 빅데이터 처리에 최적화된 컬럼형 스토리지 포맷으로, 데이터 분석 및 저장 솔루션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최근 발견된 CVE-2025-30065 취약점은 parquet-avro 모듈에서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를 역직렬화할 때 발생하며, 이를 악용한 공격자.. 2025. 4. 9.
AI가 만든 지브리 이미지, 알고 보니 불법일 수도 있다? 저작권과 얼굴 데이터 논란 최근 SNS와 블로그를 중심으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생성’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AI에 사진을 업로드하면 마치 지브리 애니메이션 속 주인공처럼 변신한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기술이죠. 결과물이 워낙 예쁘고 감성적이라 많은 이들이 자신의 얼굴을 AI에 맡기고 있습니다.하지만 이 기술, 정말 괜찮은 걸까요? 예쁜 이미지의 이면에는 저작권 침해와 개인정보 유출이라는 문제가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첫 번째 문제는 저작권 이슈입니다. 대부분의 AI 이미지 생성 서비스는 ‘지브리풍’이라고 표현하지만, 그 스타일이 어디서 온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스튜디오 지브리의 작품들이 무단으로 AI 학습에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저작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The Verge는 AI.. 2025. 4. 7.